* 목 차
1. 지하철역 이름 돈이 된다
2. 역명병기 유상판매
3. 지하철 부역명에 매달리는 이유
4. 부역명의 끊임없는 논쟁
1. 지하철역 이름, 돈이 된다?
지하철역 이름 옆에 기업이나 기관의 이름을 붙여 추가 수입을 얻는 '역명병기 유상판매'가 최근 많은 논란을 낳고 있습니다. 단순한 지명을 넘어, 지역의 랜드마크이자 시민들의 일상 속에 깊이 자리 잡은 지하철역 이름이 돈으로 거래된다는 사실에 많은 이들이 놀라움과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역명병기 유상판매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그 이면에 숨겨진 다양한 이해관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역명병기 유상판매: 역명병기란 지하철역의 주역명 밑이나 괄호 안에 부역명을 기재하는 것입니다. 서울교통공사는 2016년부터 재정난 해소를 위해, 입찰을 통한 부역명 사용권을 판매했는데요. 출입구, 승강장, 역명판 등 8곳에 부역명이 추가 기재되고 안내방송도 바뀝니다. 단, 부역명으로 기재되는 건물이 지하철역 1km 이내에 있어야 하며, 지하철 1~8호선 주요 역에서만 적용됩니다.
2.역명병기 유상판매, 어떻게 이루어지나?
절차:
역명병기 유상판매는 지하철 운영 기관이 재정난 해소를 위해 도입한 사업 모델입니다. 일정 기간 동안 역명을 사용할 권리를 기업에 매각하고, 그 대가로 수입을 얻는 방식입니다.
공모:
지하철 운영 기관은 일정 기간 동안 역명 사용 권리를 공모합니다.
입찰:
여러 기업들이 입찰에 참여하여 역명 사용권을 획득하기 위해 경쟁합니다.
낙찰: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한 기업이 낙찰되어 해당 역명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얻습니다.
기간:
일반적으로 3년 단위로 계약하며, 계약 기간 동안 해당 기업의 이름이 역명 옆에 병기됩니다.
3. 역명병기 유상판매, 그 열띤 경쟁
역명병기 유상판매는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특히 유동 인구가 많은 역의 경우 낙찰 금액이 수억 원에 달하기도 합니다.
낙찰가 1위는 역시 강남역:
부역명 사용권 낙찰가가 가장 높은 역은 단연 강남역이었습니다. 하루 평균 승차 인원만 10만 명을 넘길 정도로 유동 인구가 넘치기 때문입니다. 2호선 강남역의 부역명은 ‘하루플란트치과의원’으로, 낙찰가가 무려 11억 1,100만 원에 달했습니다. 이전까지는 약 8억 7,000만 원에 낙찰된 2·3호선 을지로3가(신한카드)역이 가장 높았었죠. 5호선 여의나루(유진투자증권)역 역시 2억 2,200만 원이라는 높은 가격에 낙찰됐습니다
성수역의 별명은 올리브영역:
오는 10월부터 지하철 2호선 성수역의 이름이 성수(올리브영)역으로 바뀝니다. 올리브영은 역명병기 유상판매 입찰에서 10억 원으로 성수역 부역명을 사용할 권리를 따냈습니다. 앞으로 3년 동안 성수역을 지날 때마다 “이번 역은 성수(올리브영)역입니다”라는 안내방송이 나올 예정입니다.
4. 지하철 부역명, 왜 매달리는가?
지하철 부역명을 둘러싼 기업과 지하철 운영 기관의 이해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하철 운영 기관의 입장:
재정 확보:
부역명 판매를 통해 추가적인 수입을 확보하여 재정난을 해소하고 시설 개선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업 유치:
부역명 판매를 통해 지역 기업을 유치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입장:
브랜드 인지도 향상:
지하철역이라는 공간을 활용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기업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습니다.
타겟 고객 접근:
지하철 이용객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광고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지역 사회 공헌: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 이미지를 구축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5. 부역명을 둘러싼 끊임없는 논쟁
부역명을 둘러싼 논쟁은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공공성 훼손 논란:
지하철역은 공공시설인데, 상업적인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맞는가?
시민들의 혼란:
다양한 부역명이 혼재되어 시민들이 역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특정 기업에 대한 과도한 특혜:
일부 기업만이 부역명을 사용할 수 있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있다.
지역 특성 반영 부족:
지역의 특색이나 역사를 반영하지 않고 단순히 높은 금액을 제시하는 기업에 부역명이 넘어갈 수 있다.
6. 시사점
역명병기 유상판매는 지하철 운영 기관과 기업 모두에게 매력적인 사업 모델이지만, 공공성 훼손, 시민들의 혼란, 특정 기업에 대한 특혜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역명병기 유상판매는 단순히 수익 창출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공공성과 상업성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
투명한 심사 기준 마련:
부역명 선정 과정에서 공정하고 투명한 심사 기준을 마련하여 특정 기업에 대한 특혜를 방지해야 합니다.
지역 특성 반영:
부역명 선정 시 지역의 역사, 문화, 특산물 등을 반영하여 지역 주민들의 정체성을 강화해야 합니다.
시민 참여 확대:
부역명 선정 과정에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민주적인 절차를 보장해야 합니다.
수익의 투명한 사용:
부역명 판매를 통해 얻은 수익을 지하철 시설 개선 등 공공 목적에 사용하여 시민들에게 돌려줘야 합니다.
역명병기 유상판매는 지하철 운영의 새로운 모델이지만, 그 이면에 숨겨진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키워드] 역명병기, 유상판매, 지하철, 부역명, 논란, 공공성, 상업성, 지역 경제, 시민 참여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심당이 또 성심당? 했 (49) | 2024.08.26 |
---|---|
전기차 화재, 안전하고 편리한 미래를 위한 해결책은? (26) | 2024.08.25 |
폭염 속에서 더 뜨거워지는 물가, 히트플레이션의 모든 것 (48) | 2024.08.23 |
새로운 국민 연금💸 개혁안! (43) | 2024.08.22 |
뷰티 산업의 미래를 읽은 버핏, 울타 뷰티 투자의 배경 (58) | 2024.08.21 |